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다중조건문
- python Django
- 파이썬 제어문
- Python Class
- 성공
- 파이썬
- 파이썬 반복문
- git
- Variable declaration
- 넥스트js
- 파이썬 클래스
- 도전
- 클래스 속성
- Kotlin Class
- Kotlin 클래스 속성정의
- github
- NextJs
- 파이썬 장고
- Kotlin If
- 희망
- 강제 타입변환
- 장고 가상환경
- 자바 기본타입
- Python
- Kotlin else if
- Kotlin 조건문
- 좋은글
- django virtualenv
- Kotlin 클래스
- activate 오류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17)
키모스토리

명령 프롬프트(DOS)를 사용해 본 독자라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 봤을 것이다. C:\> type a.txt 위 type 명령어는 바로 뒤에 적힌 파일 이름을 인수로 받아 해당 파일의 내용을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 대부분의 명령 프롬프트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인수를 전달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식을 따른다. 이러한 기능을 파이썬 프로그램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명령어 [인수1 인수2 ...] 파이썬에서는 sys 모듈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에 인수를 전달할 수 있다. sys 모듈을 사용하려면 아래 예의 import sys처럼 import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모듈을 사용하고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05장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다. #sys1.py import sys args = sys..

파일 생성하기 다음 코드를 IDLE 에디터로 작성하여 실행해 보자. f = open("새파일.txt", 'w') f.close() 프로그램을 실행한 디렉터리에 새로운 파일이 하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파이썬 내장 함수 open을 사용했다. open 함수는 다음과 같이 "파일 이름"과 "파일 열기 모드"를 입력값으로 받고 결괏값으로 파일 객체를 리턴한다. 파일 객체 = open(파일 이름, 파일 열기 모드) 파일 열기 모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파일열기모드설명 r 읽기모드 - 파일을 읽기만 할 때 사용 w 쓰기모드 - 파일에 내용을 쓸 때 사용 a 추가모드 - 파일의 마지막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 시킬 때 사용 파일을 쓰기 모드로 열면 해당 파일이 이미 존재할 ..

사용자 입력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어떤 변수에 대입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input의 사용 >>> a = input()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a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input은 사용자가 키보드로 입력한 모든 것을 문자열로 저장한다. 프롬프트를 띄워서 사용자 입력 받기 사용자에게 입력받을 때 "숫자를 입력하세요"라든지 "이름을 입력하세요"라는 안내 문구 또는 질문이 나오도록 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input()의 괄호 안에 안내문구를 입력하여 프롬프트를 띄워주면 된다. input("안내문구") 다음 예를 직접 입력해 보자. >>> number = 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함수란 무엇인가? 함수를 설명하기 전에 믹서를 생각해 보자. 우리는 믹서에 과일을 넣는다. 그리고 믹서를 사용해서 과일을 갈아 과일 주스를 만든다. 우리가 믹서에 넣는 과일은 "입력"이 되고 과일 주스는 "출력(결괏값)"이 된다. 그렇다면 믹서는 무엇인가? (믹서는 과일을 입력받아 주스를 출력하는 함수와 같다.) 우리가 배우려는 함수가 바로 믹서와 비슷하다. 입력값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다음에 그 결과물을 내어놓는 것, 이것이 바로 함수가 하는 일이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함수에 대해 공부했지만 함수에 관해 깊이 생각해 본 적은 별로 없다. 예를 들어 y = 2x + 3도 함수이다. 하지만 이를 수학 시간에 배운 직선 그래프로만 알고 있지 입력(x) 값에 따라 출력(y) 값이 변하는 함수라는 사실에 ..

for문의 기본 구조 for문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for 변수 in 리스트(또는 튜플, 문자열):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 리스트나 튜플, 문자열의 첫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차례로 변수에 대입되어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등이 수행된다. 예제를 통해 for문 이해하기 for문은 예제를 통해서 살펴보는 것이 가장 알기 쉽다. 다음 예제를 직접 입력해 보자. 1. 전형적인 for문 >>> test_list = ['one', 'two', 'three'] >>> for i in test_list: ... print(i) ... one two three ['one', 'two', 'three']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인 'one'이 먼저 i 변수에 대입된 후 print(i..

while문의 기본 구조 반복해서 문장을 수행해야 할 경우 while문을 사용한다. 그래서 while문을 반복문이라고도 부른다. 다음은 while문의 기본 구조이다. while : ... while문은 조건문이 참인 동안에 while문에 속한 문장들이 반복해서 수행된다.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는 속담을 파이썬 프로그램으로 만든다면 다음과 같이 될 것이다. >>> treeHit = 0 >>> while treeHit < 10: ... treeHit = treeHit +1 ... print("나무를 %d번 찍었습니다." % treeHit) ... if treeHit == 10: ... print("나무 넘어갑니다.") ... 나무를 1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2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3번 찍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