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otlin 조건문
- 파이썬
- 도전
- 강제 타입변환
- django virtualenv
- 장고 가상환경
- activate 오류
- 파이썬 반복문
- 파이썬 제어문
- github
- 좋은글
- Kotlin If
- 파이썬 클래스
- NextJs
- Python Class
- 자바 기본타입
- 파이썬 장고
- 다중조건문
- 희망
- 넥스트js
- Kotlin else if
- 성공
- python Django
- Kotlin Class
- Variable declaration
- Kotlin 클래스 속성정의
- Kotlin 클래스
- Python
- 클래스 속성
- git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27)
키모스토리

불 자료형이란? 불(bool) 자료형이란 참(True)과 거짓(False)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다. 불 자료형은 다음 2가지 값만을 가질 수 있다. True - 참 False - 거짓 True나 False는 파이썬의 예약어로 true, false와 같이 사용하지 말고 첫 문자를 항상 대문자로 사용해야 한다. 다음과 같이 변수 a에는 True를, 변수 b에는 False를 지정해 보자. >>> a = True >>> b = False 따옴표로 감싸지 않은 문자열을 변수에 지정해서 오류가 발생할 것 같지만 잘 실행된다. type 함수를 변수 a와 b에 사용하면 두 변수의 자료형이 bool로 지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type(a) >>> type(b) type(x)는 x의 자료형을 확인하는 파이썬의 ..

집합 자료형은 어떻게 만들까? 집합(set)은 파이썬 2.3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자료형으로,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든 자료형이다. 집합 자료형은 다음과 같이 set 키워드를 사용해 만들 수 있다. >>> s1 = set([1,2,3]) >>> s1 {1, 2, 3} 위와 같이 set()의 괄호 안에 리스트를 입력하여 만들거나 다음과 같이 문자열을 입력하여 만들 수도 있다. >>> s2 = set("Hello") >>> s2 {'e', 'H', 'l', 'o'} 비어 있는 집합 자료형은 s = set()로 만들수 있다. 집합 자료형의 특징 자, 그런데 위에서 살펴본 set("Hello")의 결과가 좀 이상하지 않은가? 분명 "Hello" 문자열로 set 자료형을 만들었는데 생성된 자료형..

딕셔너리란? 사람은 누구든지 "이름" = "홍길동", "생일" = "몇 월 며칠"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파이썬은 영리하게도 이러한 대응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자료형을 가지고 있다. 요즘 사용하는 대부분의 언어도 이러한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자료형을 갖고 있는데, 이를 연관 배열(Associative array) 또는 해시(Hash)라고 한다. 파이썬에서는 이러한 자료형을 딕셔너리(Dictionary)라고 하는데,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사전이라는 뜻이다. 즉 "people"이라는 단어에 "사람", "baseball"이라는 단어에 "야구"라는 뜻이 부합되듯이 딕셔너리는 Key와 Value를 한 쌍으로 갖는 자료형이다. 예컨대 Key가 "baseball"이라면 Value는 "야구"가 될 것이다. 딕셔너리..

튜플은 어떻게 만들까? 튜플(tuple)은 몇 가지 점을 제외하곤 리스트와 거의 비슷하며 리스트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리스트는 [ ]으로 둘러싸지만 튜플은 ( )으로 둘러싼다. 리스트는 요소 값의 생성, 삭제, 수정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요소 값을 바꿀 수 없다. 튜플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 t1 = () >>> t2 = (1,) >>> t3 = (1, 2, 3) >>> t4 = 1, 2, 3 >>> t5 = ('a', 'b', ('ab', 'cd')) 리스트와 모습은 거의 비슷하지만 튜플에서는 리스트와 다른 2가지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t2 = (1,)처럼 단지 1개의 요소만을 가질 때는 요소 뒤에 콤마(,)를 반드시 붙여야 한다는 것과 t4 = 1, 2, 3처럼 괄호( )를 생략해도 ..

리스트는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리스트를 사용하면 1, 3, 5, 7, 9 숫자 모음을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 odd = [1, 3, 5, 7, 9] 리스트를 만들 때는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괄호([ ])로 감싸 주고 각 요솟값은 쉼표(,)로 구분해 준다. 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여러 가지 리스트의 생김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a = [] >>> b = [1, 2, 3] >>> c = ['Life', 'is', 'too', 'short'] >>> d = [1, 2, 'Life', 'is'] >>> e = [1, 2, ['Life', 'is']] 리스트는 a처럼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아 비어 있는 리스트([ ])일 수도 있고 b처럼 숫자를 요..

문자열이란? 문자열(String)이란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들이 문자열이다.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a" "123" 위 문자열 예문을 보면 모두 큰따옴표(" ")로 둘러싸여 있다. "123은 숫자인데 왜 문자열이지?"라는 의문이 드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따옴표로 둘러싸여 있으면 모두 문자열이라고 보면 된다. 문자열은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위 예에서는 문자열을 만들 때 큰따옴표(" ")만을 사용했지만 이 외에도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3가지가 더 있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총 4가지이다. 1. 큰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Hello World" 2. 작은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