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Kotlin 클래스 속성정의
- 다중조건문
- 파이썬 클래스
- activate 오류
- Kotlin Class
- django virtualenv
- github
- Kotlin else if
- 넥스트js
- Python Class
- Kotlin 클래스
- 장고 가상환경
- 강제 타입변환
- NextJs
- 파이썬 장고
- Kotlin 조건문
- git
- Variable declaration
- python Django
- 파이썬
- 성공
- 좋은글
- Python
- 파이썬 반복문
- 클래스 속성
- 자바 기본타입
- 도전
- 희망
- 파이썬 제어문
- Kotlin If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17)
키모스토리

01. 아침에 일어나려고 생각했던 시간보다 5분 먼저 일어나고, 02. 출근하는 직장에 다른 사람보다 5분 먼저 도착하고, 03. 착수하려고 마음 먹은 일은 5분 먼저 시작하고, 04. 각종 회합과 약속 장소에는 5분 먼저 도착하며, 05. 상사나 직장에서 지시했던 모든 업무는 그 지시 받은 시간보다 5분 먼저 달성하여 보고하고, 06. 실수를 했을 때는 5분 먼저 고백하고, 07. 상사에게 건의할 일이 있을 때는 잘 생각해 보고 5분 늦게 건의하고, 08. 직장에서 사표를 써야 할 일이 있을 때에는 5분만 더 생각하고, 09. 또한 누가 내 귀에 거슬리는 말을 하더라도 즉각적인 반응보다는 5분 동안 생각하고 그 때 가서 말을 하고, 10. 무슨 결정을 내릴 때에는 5분 늦게 결정하고 5분 빨리 착수하며..

collections.Counter는 리스트나 문자열과 같은 자료형의 요소 중 값이 같은 요소가 몇 개인지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클래스이다. 문제 다음은 김소월의 시 '산유화'이다. 잠시 여유를 갖고 감상해 보자.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없이 꽃이 피네. 산에 산에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있네. 산에서 우는 새여 꽃이 좋아 산에서 사노라네. 산에는 꽃지네 꽃이 지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지네. 이 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와 그 개수를 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풀이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이 시를 단어별로 나누고 딕셔너리를 사용하여 각 개수를 0으로 초기화하고 나서 해당 단어가 반복될 때마다 1씩 증가하여 빈도수를 알아내는 방법을 써야 한다. 하지만, 여기서는 더 쉬운 방..

튜플(tuple)은 인덱스를 통해서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지만 네임드 튜플(named tuple)은 인덱스뿐만 아니라 키(key)로도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자료형이다. collections.namedtuple()은 키값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튜플을 생성하는 함수이다. 문제 직원 주소록을 만들고자 다음과 같이 이름, 나이, 휴대전화로 구성된 직원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려 한다. data = [ ('홍길동', 23, '01099990001'), ('김철수', 31, '01099991002'), ('이영희', 29, '01099992003'), ] 하지만, 리스트의 요소가 튜플이라 데이터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왜냐하면 데이터를 확인하려면 튜플 데이터의 인덱스 순서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야 하기 ..

collections.deque deque는 앞과 뒤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양방향 자료형으로, 스택(stack)처럼 써도 되고 큐(queue)처럼 써도 된다. collections.deque 모듈은 deque 자료형을 생성하는 모듈이다. deque는 '데크'라 읽는다. 문제 다음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1~5가 적힌 다이얼이 있으며 현재 가리키는 눈금은 1이다. [1, 2, 3, 4, 5] 이 다이얼을 오른쪽으로 2칸 돌려 가리키는 눈금이 4가 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4, 5, 1, 2, 3] 풀이 리스트를 n만큼 회전하는 문제는 알고리즘 문제에서 자주 등장한다. 파이썬에서는 collections.deque 모듈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from collec..

datetime.date(년, 월, 일) 날짜데이터를 생성. import datetime # 날짜1 데이터 출력 day1 = datetime.date(2020, 12, 10) print(day1) # 날짜2 데이터 출력 day2 = datetime.date(2022, 12, 17) print(day2) # day1에서 day2까지 날자계산(몇일이 지난것인지 계산) diff = day2-day1 print(diff) print(diff.days) # day2-day1 > 737 days, 0:00:00 같이 00일, 시:분:초를 표시 # diff.days > 737 과 같이 날짜값만 표시 실행결과 2020-12-10 2022-12-17 737 days, 0:00:00 737 datetime.datetime..

파이썬의 내장 함수는 모듈이나 패키지를 가져오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다음은 자주 사용하는 내장 함수입니다. abs abs(x)는 어떤 숫자를 입력받았을 때, 그 숫자의 절댓값을 리턴하는 함수이다. >>> abs(3) 3 >>> abs(-3) 3 >>> abs(-1.2) 1.2 all all(x)는 반복 가능한(iterable) 데이터 x를 입력 값으로 받으며 이 x의 요소가 모두 참이면 True, 거짓이 하나라도 있으면 False를 리턴한다. 반복 가능한 데이터란 for 문에서 사용 가능한 자료형을 의미한다. 리스트, 튜플, 문자열, 딕셔너리, 집합 등이 있다. 다음 예를 보자. >>> all([1, 2, 3]) True 리스트 [1, 2, 3]은 모든 요소가 참이므로 True를 리턴..